'KT 무단 소액결제' 사건이 처음 발생한 건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였습니다. <br /> <br />나도 모르는 사이 휴대전화 소액결제가 이뤄졌다는 피해 신고가 잇따랐는데, <br /> <br />[경기 광명시 피해 주민 : PASS 앱에서 소액결제가 됐다는 팝업이 떠서, 난 지금 그런 걸 하지 않으니까. KT 고객센터에 들어가서 확인을 했더니 결제가 됐더라고요.] <br /> <br />이번에는 경기 부천 지역에서 피해 신고 5건이 추가로 접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일과 2일 새벽 시간 상품권 구매나 교통카드 충전 등 명목으로 휴대전화에서 수십만 원씩 빠져나가며 4백만 원 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 가운데 4건이 부천 괴안동의 같은 아파트에서 일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도 KT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특정 장소와 시간에 피해가 집중된 겁니다. <br /> <br />피해 지역이 속속 늘며 파장이 커지자 KT도 사건 발생 2주가량 만에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침해 사고 신고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KT 측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이상 징후를 발견했다는 의미로 풀이되는데, 다만 해킹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[KT 관계자 : (해킹이라고 하면) 서버나 망이나 이런 데서 정보가 나갔다, 이런 식으로 쓰이는데 일단 저희 쪽에서는 그런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고….] <br /> <br />신고를 접수한 정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리고 곧바로 KT 사옥을 현장 조사하며 원인 규명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김명주 / 서울여대 지능정보보호학부 교수 : 이용자 측면이 아닌 쪽으로 결론이 날 경우는 이동 통신상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분야를 다 살펴야 하고, 그렇게 되면 당연히 장기화하고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다….] <br /> <br />앞서 피해 신고 70여 건을 접수해 수사에 착수한 경찰은 해킹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를 벌일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이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ㅣ이자은 <br />디자인ㅣ권향화 <br />자막뉴스ㅣ이 선 최예은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91008160983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